첫화면
home
기록
home

쿰란의 페샤림 문서들

Continuous Pesharim
1QpHab: (Habakkuk Pesher)
1Q14 (Pesher Micah)
4Q161–165: 4QpIsa a–e (Isaiah Pesher)
4Q169: 4QpNah (Nahum Pesher)
4Q170: 4QpZeph (Zephaniah Pesher)
4Q171 & 173: 4QpPs a–b (Psalms Pesher)
4Q172 (Unidentified Pesher)
4Q247–4Q (Pesher on the Apocalypse of the Weeks)
Thematic Pesharim
4Q174: 4Qflor (Eschatological Commentary A/Florilegium)
4Q177 (Eschatological Commentary B)
11Q13: 11QMelch (the Melchizedek Midrash)
4Q252 4QcommGen A 창세기 해설A
페샤림의 체계가 아닌 해석이 적용된 성서 본문 (미드라쉬 혹은 페샤림?)
6개의 파편들이 있음. 본래 양피지 한 조각. 6열로 구성. 본 사본에는 6열 전부가 남아 있음.
각 본문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불확실함. 이 사본을 아우르는 전체적인 주제가 분명하지 않으며, 해석의 방식이 매우 다채롭게 나타남.
4Q252의 편집자/저자는 이전 자료를 가지고 이 문서를 작성된 것으로 생각됨.
해석의 방식: 다시 작성된 성서 본문, 해석적 재서술, 주석
A rewritten scriptural text 1) closely follows or paraphrases a base text that has a religiously authoritative status, 2) includes additional editorial or redactional, interpretative material interwoven with the base text, and 3) stands on its own
4Q252의 I.1-2이 이에 해당. 120년은 인간의 수명이 아니라 홍수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됨. קצם - 그것들(?)의 마지막. 120년 후를 의미.
As a category, exegetical paraphrase differs from rewritten scriptural text in the way that it does not have to stand on its own; it does not attempt to present an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version” of the scriptural text. It focuses on an exegetical problem or some other interesting element in the text.
I.3-II.5(홍수 이야기) - 성서 인용 본문들이 저자의 문서과 결합되어 있음. 그러나 이 이야기는 독립적인 성서 본문 그 자체를 전달하고 있지 않음. 성서에 대한 전 이해가 있어야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음. 여기서 주요하게 강조되는 것은 1년이 364일, 즉 태양력 체계(II 3)
II.8-13 (아브라함의 이야기) - 홍수와 아브라함 이야기 사이의 논리적인 연대기를 보여 주기 위한 목적
Commentary as an exegetical literary form can be defined by its quotation—inter pretation form. Sometimes the quotation may be lacking and implicit due to the fact that the reader was expected to know the authoritative text by heart. However, in most cases, at least some part—usually the beginning—of the passage to be interpreted is quoted.
II.5-7 (가나안에 대한 저주) - 창9:24-25를 인용하고 그 다음에 바로 해석이 추가되고 있음.
IV.1-3 - 아말렉에 대한 해석 추가
IV.3-7 - פשר 구조. פשרו אשר (이러한 방식의 연속 페샤림 공식은 주로 예언서의 주석 방식)
V.1-2 성서 구절과 해석의 구조
해석의 두 경향
단순 의미 해석 (모순을 조화, 문자적 의미 - 미드라쉬) - 4Q252 - 120년의 의미
적용적 해석 (현실의 상황을 위한 해석 - 예언서 주석, 페샤림) - 성전문서
4Q252의 해석학적 기술 - identification, chronological calculations, and the use of supporting quotations or allusions.
4Q252의 반복되는 주제들
축복과 저주, 성적인 범죄 (본래 성서에서 나타나는 주제이지만, 쿰란 문서에서는 부각되지는 않음)
땅, 연대기(반면에 이 주제들은 부각되고 있음)
전체적인 주제
노아에서 메시아로
Since the messiah seems to arise from among the community behind 4Q252, the text also illustrates the supreme status of the “men of the community” over its enemies (4Q252 V 5–6).
연대기를 따라 선택이라는 주제가 흐르고 있음.
왜 노아부터 시작? - 홍수가 새로운 시작이기 때문. 노아는 새로운 아담.
창세기에서는 야벳이 셈의 장막에서 거함. 그러나 쿰란 문서에서는 하나님이 셈의 장막 안에 거한다고 적고 있음. 셈의 지위가 더 높아지고 있음. 야벳이 제외되고 있음. 쿰란 문서에서 깃딤은 공동체의 적이 되는데 바로 이 깃딤은 야벳의 자손이기 때문.
셈에서 아브라함으로 바로 연결 (=대하20:7)
소돔과 고모라와 신명기 노획물에 관한 법 - 땅 경계에 관한 언급
IV.2 - 마지막 날들 אחרית הימים - 종말론적 용어. 아말렉의 현재화
선택받은 계보와 그렇지 못한 계보들의 대비
시간이 갈 수록 대적의 계보는 이스라엘 내부에 존재하게 됨
이분법적인 계보 구조 —> 약속의 자손들을 부각시킴. 쿰란공동체가 바로 이러한 약속의 계보를 잇는 자?
אנשי יחד 언급 - 현재화
4Q161 - 4QpIsa-a
10개의 파편조각
기원전 30년 ~ 기원후 30년 사이의 저작
주석의 초점
이사야 10:22; 10:24-11:5에 대한 주석
본 주석의 내용은 회중의 메시아 리더십을 중심으로 깃딤에 대항해 싸울 전쟁에 대해서 이야기
주로 마지막 날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남은 자를 자신들의 공동체에 비유하고 있음
사10:28-32에서 나타나는 앗수르의 진군을 깃딤의 진군에 비견
사11:1-5에서 묘사되는 다윗은 종말의 시대에 적들과 맞서 싸울 다윗 자손 메시아에 비견되고 있음
이사야서 주석의 내용
1.23 이스라엘의 남은 자 = 그가 선택하신 자(의의 교사)의 회중 (언약 공동체)
2-6단편. 앗수르의 예루살렘 침공.
2-6단편. 22-23 마지막 날들. "악고 평지로부터 올라가서"
악고 평지로부터 올라가는 주체들 - 대적들
Joseph Amoussine - 이 대적은 이 문서가 작성될 때의 대적. Ptolemy Lathyrus (요세푸스의 기록. 전쟁사1.4.2(86); 고대사 13.12-13(324-56). 8-10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적들(깃딤) 역시 이러한 그리스인들?
4Q285 7 - 회중의 군사 지도자는 다윗의 가지(צמח דויד) - 깃딤과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존재
4Q161은 종말론적인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4Q285와의 연결성에서 읽혀야 함.
4Q161.3,17 - 깃딤에 대한 언급, 그리고 다윗의 싹. 다윗의 자손을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음. 최후의 전쟁 후에 메시아가 이 땅을 재판하실 것. (24행).
페셰르 이사야는 역사적인 아시리아 왕과 종말론적인 곡/마곡, 그리고 깃딤의 왕을 합치고 있음.
8-10단편. 7-9 레바논의 권세있는 자들이 도망 (4Q285 4.6-8)
악고 - 깃딤(로마군)의 군대가 군대를 일으켜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곳.(프톨레미의 침공의 기억과 연계. 로마도 그리로 들어올 것)
악고는 아셀 지파가 점령하지 못한 곳 (삿1:31). 아셀과 앗수르의 유비. 아셀은 점령하지 못했지만 앗수르는 점령.
8-10단편.16,20.25 메시아의 왕관과 의복. 제사장이 제공
메시아 의복 1QM VII,9-12. 왕으로서의 메시야 이미지.
4Q161은 종교적이고 왕의 이미지를 통합.
전쟁문서는 제사장 의복이 또한 전쟁 의복이 됨을 강조하고 있음. 따라서 메시아가 입은 의복은 제사장/군사 리더의 이미지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