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선, 신약학을 위한 쿰란 연구의 중요성
•
기독교 탄생의 시기가 되는 주후 1세기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당대 유대교의 분파들이 직접적으로 남긴 자료들이 거의 전무한 상황. 당대 역사가들이나 랍비들의 자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알 수 있음.
•
쿰란 문서를 통해 당대의 사람들의 신앙과 방향성을 보다 분명히 알 수 있음.
•
예수와 쿰란 공동체
◦
"하나님 나라 선포" (막1:14-15; 마4:17; 눅4:43; 8:1; 9:11)
◦
예수의 하나님 나라는 구체적인 정치/군사 세력에 대한 대립된 개념이 아니라 '악'에 대립된 것.
◦
쿰란 문서 역시 벨리알이라는 악의 세력에 대해 언급.
◦
그러나 예수의 하나님 나라 개념은 이미 현재화된 하나님의 나라를 말하고 있는 것.
•
초대교회와 쿰란 공동체
◦
강한 종말 의식
◦
에세네파는 스스로를 유일한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로 이해
하나님의 백성 - 암 엘 עם אל
1QM I,5; III,13
이스라엘 공동체 דעת ישראל
1QSa I,1; I,20; II,12
•
종말론적인 성서 해석
◦
예언을 자신들의 실존으로 받아들이고 적용 (1QS 8.4-16; 1QpHab 7.1-8.3)
◦
성서 해석을 중요하게 여기고 그 비밀을 자신들만이 알고 있다고 생각
•
성령론
◦
초대교회 - 성령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역사
◦
1QH 7.6-7 성령의 부으심이 나타남. 종말론적 개념
◦
유대교에서는 성령을 종말론적 개념으로 받아들임
•
메시아론
◦
유대교의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메시아상
◦
에세네파 - 정치/제사장/예언적 메시아 상
1QS 9:9b-11; 4QTestimonia = 4Q175; CD 19.33-20.1
•
요한복음과 쿰란
◦
요한복음 - 뚜렷한 이원론적 표상 (1QS 3.13-4.26과 비교)
◦
쿰란에서 빛과 어둠은 적대적인 구조
◦
요한복음에서 어두움은 무지한 세상. 복음 전파의 대상
•
쿰란과 교회
◦
교회의 내규(마18:15-17; 행5:1-11)과 에세네파 규칙의 유사성(1QS 6.24-7.25)
•
율법을 재정비 하는 메시야
•
멜기세덱의 반차
F. F. 브루스, 사해사본의 구약 사용
천사무엘,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
쿰란 공동체와 세례 요한
◦
유대광야
◦
이사야 40:3를 자신들의 정체성과 연관하여 받아들임
◦
세례
▪
세례요한 - 회개의 세례
▪
쿰란 공동체 - 정결의 의미. 죄사함? (1QS 3.4-5.9)
◦
메시아 대망
▪
세례요한 - 하나님의 아들, 신약 - 멜기세덱의 반차에 따른 대제사장
▪
쿰란 공동체 - 이중적 메시아. 쿰란 공동체에게 있어 멜기세덱은 하늘의 대제사장.
◦
재산의 공동 소유
◦
공동 식사
▪
종말론적 상징
▪
회원들의 지칭 - 많은 사람
▪